코파 델 레이 1926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코파 델 레이 1926은 사상 처음으로 각 지역 선수권 대회의 준우승 팀에게도 참가 자격이 주어져 24개 팀이 참가했다. 조별 리그를 거쳐 8강 토너먼트가 진행되었으며, 결승전에서는 FC 바르셀로나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3-2로 꺾고 통산 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1926년 축구 - 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
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칠레 산티아고에서 우루과이, 아르헨티나, 칠레, 파라과이, 볼리비아 5개국이 참가한 풀리그전으로 진행되어 우루과이가 우승했으며, 볼리비아의 첫 참가와 칠레 다비드 아레야노의 득점왕 기록이 있는 대회이다. - 1926년 축구 - 1926년 전국체육대회 축구
1926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6·10 만세 운동 여파로 연기되어 4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소학부, 중학부, 전문부,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, 휘문고등보통학교, 보성전문학교, 경성고등보통학교가 각 부 우승을 차지했다. - 코파 델 레이 시즌 - 코파 델 레이 2002-03
코파 델 레이 2002-03은 스페인 축구 협회가 주관한 코파 델 레이의 99번째 시즌으로, RCD 마요르카가 결승전에서 레크레아티보 우엘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. - 코파 델 레이 시즌 - 코파 델 레이 2010-11
코파 델 레이 2010-11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축구 컵 대회이며,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.
코파 델 레이 1926 | |
---|---|
대회 정보 | |
대회 명칭 | 국왕 알폰소 13세 컵 |
기타 명칭 | 제26회 코파 델 레이 |
개최국 | 스페인 |
참가 팀 수 | 24 |
이전 시즌 우승팀 | 바르셀로나 |
우승팀 | 바르셀로나 (7번째 우승) |
준우승팀 | 아틀레틱 마드리드 |
총 경기 수 | 62 |
총 득점 수 | 300 |
경기당 평균 득점 수 | 4.84 |
이전 시즌 | 1925 |
다음 시즌 | 1927 |
2. 대회 개요
사상 처음으로 각 지역 선수권 대회의 준우승 구단도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. 따라서 참가 구단 수는 24개로 증가했다.
참가 구단은 다음과 같다:
지역 | 구단 |
---|---|
아라곤 주 | 이베리아, 사라고사 체육단 |
아스투리아스 주 | 스포르팅 히혼, 포르투나 히혼 |
칸타브리아 주 | 라싱 산탄데르,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|
카스티야 이 레온 주 | 쿨투랄 레오네사,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
카탈루냐 주 | 바르셀로나, 에스파뇰 |
갈리시아 주 | 셀타 비고, 데포르티보 |
기푸스코아 도 | 레알 우니온, 레알 소시에다드 |
무르시아 주 | 무르시아, 카르타헤나 |
중부 | 레알 마드리드, 아틀레틱 마드리드 |
남부 | 세비야, 베티스 |
발렌시아 주 | 발렌시아, 레반테 |
비스카이아 도 | 아틀레틱 빌바오, 아레나스 게초 |
1926년 코파 델 레이 조별 리그는 1926년 2월 28일부터 4월 4일까지 진행되었다. 각 조는 3개 팀으로 구성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. 각 조의 1위 팀은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.
3. 참가 구단
지역 구단 아라곤 주 이베리아 SC, 사라고사 체육단 아스투리아스 주 스포르팅 히혼, 포르투나 히혼 칸타브리아 주 라싱 산탄데르,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카스티야 이 레온 주 쿨투랄 레오네사,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카탈루냐 주 바르셀로나, 에스파뇰 갈리시아 주 셀타 비고, 데포르티보 기푸스코아 도 레알 우니온, 레알 소시에다드 무르시아 주 무르시아, 카르타헤나 중부 레알 마드리드, 아틀레틱 마드리드 남부 세비야, 베티스 발렌시아 주 발렌시아, 레반테 비스카이아 도 아틀레틱 빌바오, 아레나스 게초
4. 조별 리그
5조의 셀타 비고와 스포르팅 히혼처럼 승점, 득실차, 다득점이 모두 동률인 경우에는 중립 지역에서 승자 결정전을 치러 8강 진출팀을 가렸다.[2] 4조의 아틀레틱 마드리드와 베티스는 승점이 같았지만, 골득실에서 아틀레틱 마드리드가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.[1]
4. 1. 1조
경기 날짜 | 홈팀 | 경기 결과 | 원정팀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발렌시아 | 1–4 | 에스파뇰 |
1926년 3월 7일 | 이베리아 | 3–1 | 발렌시아 |
1926년 3월 14일 | 에스파뇰 | 6–1 | 이베리아 |
1926년 3월 21일 | 에스파뇰 | 2–0 | 발렌시아 |
1926년 3월 28일 | 발렌시아 | 10–0 | 이베리아 |
1926년 4월 4일 | 이베리아 | 1–3 | 에스파뇰 |
4. 2. 2조
경기 | width=12%| | width=20%| |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바르셀로나 | 5–0 | 레반테 |
1926년 3월 7일 | 레반테 | 2–2 | 사라고사 체육단 |
1926년 3월 14일 | 사라고사 체육단 | 0–7 | 바르셀로나 |
1926년 3월 21일 | 레반테 | 1–4 | 바르셀로나 |
1926년 3월 28일 | 사라고사 체육단 | 5–1 | 레반테 |
1926년 4월 4일 | 바르셀로나 | 3–0 | 사라고사 체육단 |
4. 3. 3조
경기 날짜 | 홈팀 | 점수 | 원정팀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무르시아 | 2–2 | 세비야 |
1926년 3월 7일 | 레알 마드리드 | 6–2 | 무르시아 |
1926년 3월 14일 | 세비야 | 0–1 | 레알 마드리드 |
1926년 3월 21일 | 세비야 | 3–0 | 무르시아 |
1926년 3월 28일 | 무르시아 | 1–2 | 레알 마드리드 |
1926년 4월 4일 | 레알 마드리드 | 2–3 | 세비야 |
3조의 경기 결과는 위와 같다.
4. 4. 4조
경기 날짜 | 홈 팀 | 결과 | 원정 팀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베티스 | 3–0 | 카르타헤나 |
1926년 3월 7일 | 카르타헤나 | 1–2 | 아틀레틱 마드리드 |
1926년 3월 14일 | 아틀레틱 마드리드 | 3–1 | 베티스 |
1926년 3월 21일 | 카르타헤나 | 0–3 | 베티스 |
1926년 3월 28일 | 아틀레틱 마드리드 | 4–1 | 카르타헤나 |
1926년 4월 4일 | 베티스 | 3–2 | 아틀레틱 마드리드 |
아틀레틱 마드리드와 베티스는 승점이 같았지만, 골득실에서 아틀레틱 마드리드가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.[1] 카르타헤나는 4전 전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.
4. 5. 5조
5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.경기일 | 홈팀 | 점수 | 원정팀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셀타 비고 | 9–0 | 쿨투랄 레오네사 |
1926년 3월 7일 | 스포르팅 히혼 | 3–1 | 셀타 비고 |
1926년 3월 14일 | 쿨투랄 레오네사 | 2–6 | 스포르팅 히혼 |
1926년 3월 21일 | 쿨투랄 레오네사 | 1–5 | 셀타 비고 |
1926년 3월 28일 | 셀타 비고 | 4–3 | 스포르팅 히혼 |
1926년 4월 4일 | 스포르팅 히혼 | 4–0 | 쿨투랄 레오네사 |
셀타 비고와 스포르팅 히혼이 승점, 득실차, 다득점까지 동률을 이뤄 마드리드에서 승자 결정전을 치렀고, 셀타 비고가 5-0으로 승리했다.[2]
4. 6. 6조
구단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점 | 실점 | 승점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데포르티보 | 4 | 3 | 0 | 1 | 19 | 7 | 6 |
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 4 | 1 | 1 | 2 | 7 | 11 | 3 |
포르투나 히혼 | 4 | 1 | 1 | 2 | 4 | 12 | 3 |
경기 날짜 | 홈 팀 | 결과 | 원정 팀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 4–2 | 데포르티보 |
1926년 3월 7일 | 데포르티보 | 9–0 | 포르투나 히혼 |
1926년 3월 14일 | 포르투나 히혼 | 2–0 |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
1926년 3월 21일 | 데포르티보 | 6–2 |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
1926년 3월 28일 | 포르투나 히혼 | 1–2 | 데포르티보 |
1926년 4월 4일 | 레알 우니온 데포르티바 | 1–1 | 포르투나 히혼 |
4. 7. 7조
경기 날짜 | width=12% | | width=20% | | |
---|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레알 우니온 | 2–1 | 라싱 산탄데르 |
1926년 3월 7일 | 아틀레틱 빌바오 | 1–3 | 레알 우니온 |
1926년 3월 14일 | 라싱 산탄데르 | 1–1 | 아틀레틱 빌바오 |
1926년 3월 21일 | 라싱 산탄데르 | 4–3 | 레알 우니온 |
1926년 3월 28일 | 레알 우니온 | 4–2 | 아틀레틱 빌바오 |
1926년 4월 4일 | 아틀레틱 빌바오 | 4–1 | 라싱 산탄데르 |
4. 8. 8조
경기 | 결과 | width=20%| |
---|---|---|
1926년 2월 28일 |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0–5 레알 소시에다드 | |
1926년 3월 7일 | 레알 소시에다드 5–3 아레나스 게초 | |
1926년 3월 14일 | 아레나스 게초 4–1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| |
1926년 3월 21일 | 레알 소시에다드 4–1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| |
1926년 3월 28일 | 아레나스 게초 1–4 레알 소시에다드 | |
1926년 4월 4일 | 힘나스티카 토렐라베가 1–3 아레나스 게초 |
5. 8강전
1차전 (1926년 4월 18일) | 2차전 (1926년 4월 26일) | 승자 결정전 (1926년 5월 2일) |
---|---|---|
에스파뇰 6–1 아틀레틱 마드리드 | 아틀레틱 마드리드 2–0 에스파뇰 | 아틀레틱 마드리드 3–2 에스파뇰 [1] |
셀타 비고 2–1 레알 소시에다드 | 레알 소시에다드 2–2 셀타 비고 | |
레알 마드리드 1–5 바르셀로나 | 바르셀로나 3–0 레알 마드리드 | |
레알 우니온 데 이룬 3–0 데포르티보 | 데포르티보 3–4 레알 우니온 데 이룬 | |
colspan="3" | |
6. 준결승전
준결승전 두 경기는 모두 1926년 5월 9일에 중립 구장에서 단판으로 진행되었다.
7. 결승전
7번째 우승